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외국인 말씨 연구

by 프리워커JRP 2022. 10. 26.
반응형
1. 외국인 말씨의 기술

 외국인 말씨를 기술하기 위해서는 비모국어 화자와 모국어 화자에 의해 이루어진 발화 표본을 수집하고 분석하는 일이 필요하다. 롱은 많은 연구들이 비교를 위한 기초의 역할을 하는 초기 데이터를 얻는데 실패했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기초 데이터가 수집된 몇몇 연구들은 두 가지 테이터가 분명히 동일한 과제에서 추출된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고 지적한다. 다른 사용 역에서도 볼 수 있듯이, 외국인 말씨는 참여자의 나이, 대화의 주제, 그리고 학습자의 숙달과 같은 수많은 변이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 같다. 그렇기 때문에 외국인 말씨는 고정된 특성이자 정적으로 생각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역학적인 것으로써 다양한 상황적인 요인에 따라 변화하는 것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 같다고 추측해볼 수 있다. 

 

 

 외국인 말씨는 기능적이고 형식적인 특성을 둘 다 가지고 있다. 롱은 이러한 입력과 상호작용적인 특성을 각각 표시한다. 입력의 특성은 두 가지 형태이다. 첫째, 비문법적 발화로 이어지는 단순화를 내포하는 것들이며, 둘째, 언어의 문법적 규칙 구조 내에서 단순화를 포함하는 것들이다. 상호작용적인 특성은 모국어 화자에 의해 수행되는 특정한 담화 기능들로 이루어진다. 이것들은 단지 모국어 화자만을 참여시킨 대화에서 관찰되는 것들과 성질이 다르지 않지만, 어떤 특정 기능들이 사용되는 빈도에서는 상이점이 있다. 모든 상호작용적 특성과 인풋이 비모국어 화자와 모국어 화자 사이의 모든 대화에서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되어야 한다. 상호작용 특성과 인풋, 비문법적이며 문법적인 단순화 사이에서의 구분과 관련지어 세 가지 형태의 외국인 말씨가 발견될 수 있다. 

 

 

1. 비문법적, 문법적 입력 조정의 둘 뿐만 아니라 상호작용적 조정으로 이루어지는 외국인 말씨

2. 상호작용적인 조정만으로 이루어지는 외국인 말씨

3. 상호작용적이고 문법적인 입력 조정으로 이루어지는 외국인 말씨

 

 

 다수의 연구들은 상호작용적인 입력과 조정이 외국인 말씨에 나타나는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고찰했다. 어떤 학자들은 어린이 비모국어 화자와 이루어진 외국인 말씨를 청소년 비모국어 화자와 이루어진 외국인 말씨와 비교했다. 그들은 어린이 비모국어 화자가 더 도움을 많이 받는 분위기 속에서 더 간단한 입력을 받는다고 결론지었다. 따라서 그들과 이루어진 원어민 화자의 발화는, 덜한 말더듬, 덜 복잡한 문법구조들, 더 단순화된 어휘, 더 많은 설명 요구들, 더 많은 명령적인 지시들, 더 짧은 발화들을 내포한다. 그들은 단순화가 언어적 능력보다 나이에 의해 더 많이 영향을 받는다고 주장했다. 또 조정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는 또 다른 요인은 의사소통이 쌍방향인지 또는 일방적인지이다. 

 

 

 외국인 말씨는 어머니 말씨와 아주 비슷하지만, 상호작용적 특징과 인풋 모두에서 확연한 차이가 있다. 비문법적인 조정들이 어머니 말씨에서는 거의 일어나지 않지만, 이것들은 외국인 말씨에서 특정한 상황 아래에서는 일어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학자가 다른 언어기능들의 상대 분포가 동일하지 않다는 것을 발견했다. 반대로 어머니 말씨는 지시와 물음의 분포가 높이 나타나는 한편, 외국인 말씨는 진술의 분포가 높게 나타났다. 한 연구자는 어머니 말씨의 주요 기능이 어린이의 행동을 지시하는 한편, 외국인 말씨에서는 정보를 교환하는 것이라고 제기한다. 하지만 이것은 외국인 말씨와 어머니 말씨 사이의 특정한 차이라기보다, 간단히 어린이와의 대화와 성인과의 대화 사이에서의 일반적인 다른 점의 반영일 수도 있다. 

 

 

 

 

2. 외국인 말씨 설명

 외국인 말씨의 설명은 어떻게 발생하고, 왜 조정되는지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한 연구자는 외국인 말씨가 어머니 말씨와 같이 기본적인 기능들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즉 그것은 원어민 화자와 비원어민 화자 사이의 특별한 정의적 유대를 형성하며, 대화를 촉진하고, 암시적인 교수 방식의 역할을 한다. 물론 대화가 촉진되는 것은 대부분의 조정이 인지하고 이해하기 쉽도록 만들기 위해 발화를 단순화시키거나 혹은 워어민 화자가 어떤 것을 말하기 원하는지를 명료화하거나, 그가 말한 것을 깨닫도록 조정한다. 그는 비원어민 화자와 원어민 화자 사이의 특별한 종류의 정의적 유대가 대화 시 발생하는 것은 경험된 성취감 때문이며, 암시적인 교수 방식의 역할을 하는 것은 외국인 말씨가 비록 성공적인 대화가 이루어질 때 교수법상의 영향이 있을지라도 어떠한 명시적인 교수법상의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암시적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하지만 나로는 외국인 말씨가, 즉 특별히 학습자가 학습하는데 도움이 되곤 하는 명시적인 교수 기능과 함께 생긴다고 말한다. 

 

 

 해치가 언급하지 않은 기능은 화자들 간의 역할 관계, 즉 알기 용이하게 말하기 기능을 표시하기 위한 외국인 말씨의 사용이다. 이것은 특정한 어휘의 생략같은 비문법적인 단순화의 사용과 혹은 문법적 기능과 같은 것을 포함한다. 롱은 비문법적인 외국인 말씨 사용은 다음 네 가지 상황에 따른다고 주장했다. 첫째, 비모국어 화자는 제2언어에서 매우 낮은 숙달도를 가지고 있으며, 둘째 대화가 동시에 발생한다. 셋째, 모국어 화자는 자신이 더 높은 상태에 있다고 생각하며 넷째, 모국어 화자는 외국인 말씨에 대해 상당히 앞선 경험을 가지고 있다. 

 

 

 모국어 화자가 그들의 발화를 어떻게 조율하는지에 대한 설명은 코더가 주장한 회귀, 정합, 교섭을 포함한다. 한 연구자는 이 세가지 설명을 고찰하고 그 결과 교섭이 가장 설득력 있다는 결론을 내린다. 그녀는 회귀가 매우 가능성이 없으며 관찰된 외국인 말씨의 특징들에 의해 입증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