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언어 습득의 어떤 점이 개별인 학습자 요인으로부터 영향을 받는지에 대한 2가지의 기초적인 가능성이 존재한다. 첫째는 제2언어 습득 과정에서 학습자가 진행하는 경로의 차이점의 결과로 연결되는 연령, 동기부여, 성격, 학습유형, 적성 등이 있고, 둘째로는 이러한 요인들이 제2언어 습득의 성공과 진도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것들은 개별 인적인 문제이다. 학습자가 본질적으로 어느 정도의 성취를 이루는지, 어떤 진도로 학습하는지는 논란이 되지 않는다. 하지만 개별 인적인 차이가 언어 지식이 습득되는 순서와 연속에 영향을 끼친다고 주장하는 것은 더 많은 논란의 소지가 있다. 이는 자연스러운 언어 발달 경로에 찬성하는 주장과 증거에 반대된다.
각 개별인 학습자 요인의 논쟁에서 볼 수 있듯이, 제2언어 습득의 경로에 대한 영향이 제대로 조사되지 않았다. 학습자 변이에 대한 거의 모든 연구는 다른 각기 다른 학습자들에 의해 이룬 숙달 단계에 미친 영향을 조사하거나 혹은 제2언어 학습 과업에 대한 개별인 학습자의 반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기술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습득 혹은 숙달의 어느 것도 습득 경로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지는 못한다.
이러한 복잡한 개념과 용어에 대한 질서를 세우기 위해 일반적인, 그리고 개인적인 요인 사이에 구분을 지으려고 한다. 먼저 일반적인 요인에 대해 살펴보겠다.
일반적인 요인
1) 연령
연령은 제2언어 습득에 있어 개별인 차이를 이야기할 때 가장 빈번하게 언급되는 변이 중 하나이다. 연령은 측정될 수 있는 용이성이 있기 때문이다. 연령은 다른 일반적인 요인과는 달리, 신뢰도가 높고 정확하게 기재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또 다른 이유는 어린이들이 성인보다 훨씬 나은 언어 학습자라는 믿음을 공통적으로 갖게 된 경험적 연구를 따를 필요가 있었다. 제2언어 습득과 연령을 다루는 제2언어 습득 문헌에 대한 다수의 포괄적인 논평이 있는데, 이 논평을 쓴 저자들에 의해 도출된 결론에는 뚜렷한 의견 일치가 부족하다. 이는 연령 문제의 복합성을 반영했다고 할 수 있다.
2) 연령의 효과
먼저, 제2언어 습득의 성공과 진도에 대한 연령 효과로부터 제2언어 습득의 경로에 대한 연령의 효과를 분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연령의 역할을 조사했던 대부분 연구는 연령의 효과를 분리하는 것과 연관되었다. 이는 그 연구들이 연령 측정 혹은 학습 기간과 얻어진 숙련도 측정 사이에서의 상호 관계 범위를 검토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자연스러운 경로가 학습자들의 연령과 함께 학습자의 연령에 의해 변하는지를 고찰했던 다수의 종적 연구와 횡적 연구가 있었다.
유효한 증거는 연령이 습득의 경로를 바꾸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Bailey 등은 성인들이 Burt와 Dulay에 의해 연구된 문법적 형태소의 동일한 모음을 습득하는 과정을 조사했다. 이들은 어린이들의 형태소 연구들에서 발견된 것과 유사한 순서를 발견했다. 20개의 문법 항목에 대한 습득 순서가 6세 ~ 15세까지 200명의 어린이들에 대한 표본에 계속 남아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하지만 두가지 연구에서 이용된 방법이 습득 순서와 정확성을 동일시하는 것이었으며, 그래서 결과의 타당성에 관한 방법론적 의문이 남아있다. 종적 연구들은 연령이 의문문과 부정문 같은 과도적 구조에서 발달의 다른 순서를 만들지 않는다고 지적한다. 한 연구자는 성인, 어린이, 청소년 학습자들이 같은 단계를 거치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래서 학습자들은 그들의 연령이 어떠냐에 관계없이, 같은 방식으로 언어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으로 보인다.
제2언어 습득의 성공과 진도는 학습자의 나이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난다. 진도에 관련해서, 나이가 많은 학습자들이 제2언어에 노출된 시간의 분량에 따라 대조해본다면, 높은 숙련도에 도달하는 사람은 바로 나이 많은 학습자들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일반화는 두 가지의 중요한 방식으로 수정될 필요가 있다. 첫째로는, 가장 빠르게 언어학습을 진행하는 학습자들, 즉, 청소년들일 수 있다. 한 네덜란드어 제2언어 학습자들에 대한 연구에서, 15세 이상의 성인들이 6~10세의 어린이들을 능가했음에도 불구하고 12세~15세의 십 대들은 앞의 두 집단보다 더 빨리 언어를 배웠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는 비록 나이가 언어 학습 능력을 증진시키지만, 언어 실천은 십 대에 정점에 닿고, 그 이후에는 점점 쇠퇴하는 것으로 보인다. 일반화에 대한 두 번째 개정은 조사되고 있는 언어의 측면과 연관이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