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제2언어2

제2언어 습득에서의 입력과 학습자 진행 과정 다음은 제2언어 습득에서 활발하게 논쟁되는 주요 쟁점 중 입력의 역할과 학습자 진행 과정에 대한 설명이다. 1. 입력(input)의 역할 제2언어 습득이 학습자가 제2언어 입력에 접근할 수 있을 때만 가능하다. 이 입력은 형식적인 교수 상황이거나, 자연적인 형태일 것이다. 또한 이것은 쓰인 형태이거나 말해지는 형태일 수 있다. 제2언어 습득에서의 주요 이슈는 입력이 하는 역할이다. 제2언어 습득 초기 이론에서는 연습과 강화를 통한 습관 형성의 개념으로, 입력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학습의 전반적인 진행 과정은 올바른 양의 인풋을 제시하고 학습자가 목표 언어를 자동으로 구사할 수 있을 때까지 연습을 반복하게 하여 통제될 수 있었다. 이렇듯 자극과 반응의 연쇄작용으로 강화에 의해 통제되는 다른 종류의 학습과.. 2022. 9. 19.
제2언어 습득의 주요 이슈 - 모국어 역할, 발달 경로 1. 모국어에 대한 역할 1960년대에 접어들면서 제2언어 습득자가 직면하는 장애물의 대다수가 학습자들의 모국어 영향일 것이라는 가설이 대부분이었다. 제2언어와 모국어가 다른 곳에서 모국어는 제2언어의 학습을 방해하게 되고, 제2언어와 모국어가 비슷한 곳에서는 모국어가 제2언어 학습에 도움을 준다고 가정하였고, 이를 언어 전이라고 지칭하였다. 모국어와 제2언어 사이의 동질성이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반면, 이 둘 사이의 다른 점이 부정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교사들은 부정적 전이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방해의 영역에 관해 그들의 교수법에 중점을 두게 되었다. 교사들은 이러한 장애를 해결하기 위해 대대적인 실습에 몰두할 것을 권고받기도 했다. 그 이후 제2언어 습득 장애 영역을 확인하기 위한 일환으로,.. 2022. 9.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