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34

제2언어 습득과 개별인 학습자 차이 제2언어 습득의 어떤 점이 개별인 학습자 요인으로부터 영향을 받는지에 대한 2가지의 기초적인 가능성이 존재한다. 첫째는 제2언어 습득 과정에서 학습자가 진행하는 경로의 차이점의 결과로 연결되는 연령, 동기부여, 성격, 학습유형, 적성 등이 있고, 둘째로는 이러한 요인들이 제2언어 습득의 성공과 진도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것들은 개별 인적인 문제이다. 학습자가 본질적으로 어느 정도의 성취를 이루는지, 어떤 진도로 학습하는지는 논란이 되지 않는다. 하지만 개별 인적인 차이가 언어 지식이 습득되는 순서와 연속에 영향을 끼친다고 주장하는 것은 더 많은 논란의 소지가 있다. 이는 자연스러운 언어 발달 경로에 찬성하는 주장과 증거에 반대된다. 각 개별인 학습자 요인의 논쟁에서 볼 수 있듯이, 제2언.. 2022. 10. 20.
중간언어 변이 유형 - 체계적인 변이 중간 언어 이론은 언어학 습자의 언어에 내재되어 있는 변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자연스러운 경로는 일련의 명확하게 윤곽이 드러나는 단계에서는 그 자체가 드러나지 않는다. 오히려 각각의 단계는 앞선 단계나 후에 나타나는 단계들과 겹치게 된다. 각각의 새로운 규칙이 언어적 맥락 범위로 서서히 확장되기 시작한다. 그렇기 때문에 어떤 발달 단계에서 학습자의 중간 언어 체계는 한 가지 규칙은 한 가지 경우에서만 언어 수행을 유도하게 되고, 또 다른 규칙은 또 다른 경우에 언어 수행을 유도함으로써, 다수의 상충되는 규칙들을 포함하게 될 것이다. 게다가, 각각의 중간 언어 체계는 자유 변이에 있는 언어 형태들을 포함한다. 즉, 규칙에 구속되지 않고 그것의 사용이 전혀 체계적이지 않은 형태들이다. 이와 같.. 2022. 10. 1.
제2언어에서의 중간언어 스키너에 의해 중간 언어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되었다. 그 외 다수의 대안적 용어들도 다른 학자들에 의해 사용되었다. 코더는 전이 능력과 특이 방언, Nemser는 근사 체계라고 명명하였다. 이러한 용어들이 연관성도 갖고 있지만, 각기 다른 개념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첫째, 중간 언어라는 용어는 학습자 발달의 어떤 단계에서도 생성하는 구조적 체계를 의미한다. 둘째, 코더가 학습자의 내재된 교수요목으로 명명했던 것을 구성하고 있는 연결 체계를 의미하기도 한다. 이를 중간 언어 연속체라 한다. 이러한 중간언어 이론의 뿌리에 있는 가정은 Nemser에 의해 언급되었다. 이는 (1) 주어진 시간에 근사 체계가 제2언어와 모국어로부터 확연히 다르며, (2) 근사 체계가 서서히 발전하는 연속을 형성한다. 또한 (3.. 2022. 9. 30.
모국어 습득에 대한 심리주의 설명 스키너의 언어 학습 이론에 관한 촘스키의 반박은 행동주의자의 경험적 접근 방법에서 모국어 습득의 심리주의 의견에 대한 재주장을 만들어냈다. 촘스키는 어린이들의 능동적인 기여를 강조했고, 강조와 모방의 중요성을 최소화했다. 그는 어린이들의 모국어에 대한 지식이 어떤 자연스러운 언어를 취할 수 있는 근본적인 형태를 구체적으로 평시 하는 보편 문법으로부터 시작된다고 설명했다. 보편 문법은 초기 상태를 구성하며, 주어진 언어 문장이 갖는 형태를 통제하는 일련의 태생적인 언어적 원칙으로서 존재했다. 게다가 보편 문법의 역할은 보편 원칙을 자연적인 언어에 대한 표출에 의해 제공되는 데이터와 관련짓기 위한 발견 절차였다. 모국어 습득에 대한 이러한 주장은 습득 장치에 언어 습득 장치에 대해 하나의 모델로 제시되었다... 2022. 9.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