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34

제2언어 습득에서의 대조분석가설 비평 1970년대 초, 세력을 가했던 비판은 세 가지의 주요 유형에 대한 비판이었다. 첫째, 대조분석이 오류를 예측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 것에 대한 의심이다. 이런 의문점은 언어 학습자의 언어를 깊이 연구하기 시작하면서부터 생겨나기 시작했다. 둘째, 언어 비교의 가능성과 대조분석의 방법론에 관해 많은 이론적 비판이 있었다. 셋째, 대조분석이 언어 교수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 중요한 것이 있었는지에 대한 의심이 있었다. 그리하여 대조분석에 있어서의 위기는 실제적, 경험적, 이론적인 고려사항들의 결과였다. 1. 경험적 연구와 오류 예측 대조분석가설의 가장 열정적인 지지자들에 의한 것은 배제하고, 비간섭오류의 존재는 늘 인정되었다. 브룩스는 학습자 오류의 네 가지 원인을 제시했다. (1) 학습자는 올바른 모델을.. 2022. 9. 28.
제2언어 습득에서의 대조분석 1. 대조 분석 대조 분석은 제2언어를 최대한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가르치기 위한 실제적 필요성에 바탕을 두고 있다. 대조분석 학자중 한 명인 라도는 '외국어와 모국어의 다른 점에 대해 비교를 해왔던 교사들이 학생들의 실제 문제점을 잘 파악하고 그들을 교수하기 위해 제대로 준비할 수 있다'고 확신했다. 따라서 대조 분석의 근원은 교수법이었다. 이는 미국에 있는 학자들에 의해 다양한 언어에 반영되었고, 모두 다른 언어를 배우는 영어 화자들이 겪을 수 있는 개연성 있는 학습 장애 영역을 수립하도록 인도했다. 이러한 교수법 지향적 연구와 더불어, 유럽에서 진행된 수많은 더 이론적인 대조분석도 있었으며, 이러한 연구 중 몇몇은 제2언어 습득과는 전혀 무관했다. 대조분석은 일반 언어학에서는 대단한 이론적 관심 .. 2022. 9. 24.
행동주의 관점에서 바라 본 모국어의 역할(1) 행동주의의 관점에서 본 모국어의 역할에 대해 다루기 전, 행동주의 학습이론과 습관에 대해 알아보겠다. 1. 행동주의자 학습이론 초기 모국어와 관련된 중요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행동주의자들의 학습이론에 대한 주요 논점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1960년대 말까지 언어 학습에 대한 주장들은 보통 학습이론에서 도출되었다. 학습자들이 발화했던 실제의 언어에 따른 제2언어 습득에 관한 연구가 거의 없으며, 이보다 앞선 경험에 근거하여 제2언어 습득 진행 과정을 검증하려는 시도도 거의 전무했다. 언어 학습에 대한 대부분의 논점을 제공했던 심리학의 지배적인 학파는 행동주의였다. 행동주의에서 주장하는 두 가지 핵심 개념이 있는데, 바로 습관과 오류이다. 1-1. 습관 행동주의 심리학은 특정한 자극이 있을 때 생기는 반응.. 2022. 9. 24.
제2언어 습득에서의 입력과 학습자 진행 과정 다음은 제2언어 습득에서 활발하게 논쟁되는 주요 쟁점 중 입력의 역할과 학습자 진행 과정에 대한 설명이다. 1. 입력(input)의 역할 제2언어 습득이 학습자가 제2언어 입력에 접근할 수 있을 때만 가능하다. 이 입력은 형식적인 교수 상황이거나, 자연적인 형태일 것이다. 또한 이것은 쓰인 형태이거나 말해지는 형태일 수 있다. 제2언어 습득에서의 주요 이슈는 입력이 하는 역할이다. 제2언어 습득 초기 이론에서는 연습과 강화를 통한 습관 형성의 개념으로, 입력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학습의 전반적인 진행 과정은 올바른 양의 인풋을 제시하고 학습자가 목표 언어를 자동으로 구사할 수 있을 때까지 연습을 반복하게 하여 통제될 수 있었다. 이렇듯 자극과 반응의 연쇄작용으로 강화에 의해 통제되는 다른 종류의 학습과.. 2022. 9. 19.